건축을 통한 교육 (Learning through Architec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3-18 16:20

본문

     

    K12 건축 교육은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건축을 통한 교육(Learning through Architecture)을 의미하는 것이다. 건축을 통한 교육은 건축을 매개체로 이용하여 건조 환경에 대해 

   건축적인 사고를 통하여 접근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단순히 건조 환경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건축적 이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를 이해하는 보다 넓은 

   의미에서 개인적, 사회적 맥락 속에 위치한 교육이라고 정의 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사회적 인식 능력을 고양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K12 건축학교는 전문영역과 교육영역의 협력을 통하여 창의적이고도 합리적이며 공동체적인 공교육 대안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지속적이고도 폭 넓게  실행 하여 공교육에 의한       교육 인적 자원의 열악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지역사회가 함께 만드는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건축교육 프로그램은 2002년 철암지역 건축 도시 작업팀이 폐광으로 쇠퇴해가는 철암지역을 살리기 위해서 지역사회와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 대안의 일환으로 강원도 철암 초등학교에서 처음으로 운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을 좀 더 체계화하고, 지속적인 실행하기 위하여 2002220일 주대관, 조정구, 홍성천, 장성렬 4인이 K12건축교육 모임을 결성하여 학교 안 교육으로서 초, , 고등학교의 공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으며, 학교 밖 교육으로는 지역 문화 예술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교육 및 전시활동으로 건축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성과를 인정받아 왔습니다.

2004년에는문화관광부에서 후원하는 지방 문예회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에서 신라대학교 예술연구소와 공동 기획 참여하여 미술, 건축, 공예분야 수 교육프로그램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시행된 프로그램들을 체계화하고 이를 보급하기 위하여 건축교육 프로그램 [ae80] 을 만들었으며, 2005325일 어문 저작물로 저작권 등록을 하였습니다.

또한, 2006년에는 평촌아트홀과 문화관광부에서 후원하는 지방 문예회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에 공동 기획 참여하여 기획 우수프로그램으로 선정되어 건축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20061월에 현장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공간 대안 활동을 위한 사단법인 문화도시 연구소가 창립되면서, K12건축교육모임은 문화도시 연구소의 부설 K12건축학교로 확대 개편되었습니다.

K12 건축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전담할 전문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생들을 위한 향유자 교육뿐만이 아니라, 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매개자 교육도 진행해왔습니다.

2011년에는 건축교육 실행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건축가와 함께하는 어린이 건축교실ae80 프로그램]”이란 책을 출판하였습니다.

또한, 2014년에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쉽게 건축을 이해 할 수 있는 [따라하며 배우는 어린이 건축학교] 책을 출판하였습니다.

2012년에는 K12건축학교와 정림건축문화재단, 아르코 미술관등의 3단체가 창의적인 파트너쉽을 구축하여 어린이 건축학교를 상설 운영하였으며,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한 건축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작업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건축을 통한 교육의 소통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