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2 건축학교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 정보

본문

K12건축학교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과 공동성이라는 큰 두 개의 주제를 아래의 일곱 개의 주제로 세분하고 이를 프로젝트에 투영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그 일곱 개의 소주제는 다음과 같다.

 

1) 거주환경 전반에 대한 이해: 건축과 도시라는 건조 환경 전반의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건조 환경을 구축하고 누리는 데에 있어서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이 중요성을 이해한다.

2) 공간적 창의와 그 구현: 인간의 실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공간 환경의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하여 이해하고, 공간을 물리적으로 규정하는 물체형태들에 대한 상상과 표현을 통하여 공간의 생성원리를 이해하고 삼차원적인 창의적 사고를 확장한다.

3) 합리적이며 통합적 사고: 구조방식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사고를 익힌다.

4) 지역성과 역사성의 이해: 도시나 마을의 형성과정과 건축물의 역사/재료/구법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지역의 역사에 대하여 학습한다.

5) 공간사회학적 인식: 도시나 마을의 물리적인 구성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공동체와 공공성과 공동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의 생산성에 대해서 이해한다.

6) 민주적 역량의 함양: 공동 작업을 통하여 토론과 합의에 의한 의사결정의 합리성과 합의된 결정에 따르는 사회적 활동의 규칙에 대하여 이해한다.

7) 협력과 노작과 성취: 역할을 분담하고 협력하여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협동의 중요성을 체득하고 노작과 기술적 작업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이 주제들은  건축과 도시의 본질적 특성 및 교육방법과 전체적인 내용구성의 기술적 특성 등에 따라  확장 및 변형이 가능 하며,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건축 프로젝트에 복합적으로 관입되어 있다

 

K12건축학교의 프로그램은 현재 45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구성.png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