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12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l K12 건축학교 소개
  • ■ 프로젝트기반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 현재의 공교육 프로그램은 목표에 있어서는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부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못하다. 과목위주의 수업이 편리하기 때문이며, 현재의 실정에서는 그 실행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과목단위의 수업을 과목들간의 연계를 통한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트기반의 수업은 수업의 단위를 교과목별로 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단계적인 접근을 요구하는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의 수업으로 이 경우 과목간의 통합적 연계를 통해서 살아있는 사고와 지식의 습득이 가능한 것이다.

  • ■ 다양한 전문분야를 활용하는 공교육 대안프로그램의 개발

  • 이를 위한 대안적 프로그램으로서 전문분야를 활용한 방법이 제안된다. 하나의 전문분야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의 총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건축의 경우 인문사회학적 인식과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 그리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공학적 지식의 산물이기 때문에 그 전문분야의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지식을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이 때 전문분야를 활용한 교육방법은 전문분야 그 자체를 교육하는 전문교육이 아니기 때문에, 그 전문분야의 기능을 익히기 보다는 그 전문분야의 특성이 가지는 포괄성에 주목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예컨대 건축교실의 경우 건축이라는 전문적인 영역을 교육하여서는 안 되며, 건축이라는 분야를 ‘통해서(by architecture, through architecture)’대상에 접근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 ■ 지역사회의 전문가 집단의 교육 참여 시스템의 구축

  • 이러한 교육을 실행하기 위하여서는 전임교사위주의 현행 교실수업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특히 당해 전문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의 교육참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한 실천적 해결방안으로 지역사회와 전문가집단이 협력하여 자원봉사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사와 협력하여 교육을 진행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교육적으로 충분히 검증된 분야별 프로그램의 연구와 실험이 요구될 것이다.

  • ■ 지역사회의 교육 비용 분담과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

  • 현행의 수익자부담원칙과 사교육위주의 교육환경 속에서 저소득층이 많고 교육기회가 불균형된 수지역의 교육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교육욕구를 가진 교육수요자들의 이탈로 인하여 소지역을 점점 더 교육적으로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교육수요자의 교육비용의 일부를 지역사회 전체가 나누어 책임지는 책임의식이 요구된다. 이 경우 분담된 교육비용은 장학금 등의 형태로 지급되기 보다는 전체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에 쓰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 지역사회 전체의 학교화

  • 청소년으로 하여금 지역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알아야할 지역사회의 물적 비물적 토대를 실습이나 실기수업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써, 자연환경과 사회 공동체 구조와 그 문화를 이해하고 사랑하도록 도와야 한다. 지역사회의 곳곳이 모두 학교의 일부가 되고 지역사회가 이러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